인천광역시(시장박남춘)에서는 오늘 5일 오는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종료에 따르는 친환경 자원순환 선도도시 인천 구현의 한 축이 될 ‘(가칭)인천에코랜드 조성계획’을밝혔으며 ‘에코랜드’는 환경을 의미하는 에코(eco)와 땅을 의미하는 랜드(land)의 합성어로 ‘친환경적으로 조성되는 땅(부지)’을의미한다.
따라서 인천시는 인천에코랜드를 현재의 직매립 방식이 아닌친환경 방식으로 조성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아울러, 인천에코랜드에는1일 반입량이 161톤으로 20톤 트럭 약 8대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인천에코랜드는 ‘폐기물 발생지처리원칙’에 따라 인천지역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할 필수 시설 중 하나다.
수도권매립지는1,600만㎡의 면적에 매립용량만 22,981만톤에 달하고 노상에 폐기물을 직 매립하는후진국 형 매립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인해 악취와 침출수 발생 등으로 주변 지역에 많은 환경피해를 야기해 왔으며 많은 시민들이 그동안 수도권지역의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을 직접 매립해 오고 있는 수도권매립지에 익숙해 있어 자체 매립지 또한 같은 방식으로 운영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인천에코랜드는 수도권매립지와는 규모부터 매립 시설의 형태까지 모든 것이 전혀 다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인천에코랜드는 부지면적이 15만㎡ 미만이고, 용량도 234만㎥규모로 수도권매립지의 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매립시설 또한 4단계로 나누어 조성할 예정으로, ‘실제 매립시설’은 1단계 용량인60만㎥ 내외로 조성되며 특히, 현재와 같이 생활폐기물을 직 매립하는 방식이 아니라 생활폐기물을소각한 후 발생하는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하게 되는 방식이다.
또한, 분리수거확대, 생활폐기물 소각재 ·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활용한 벽돌및 보도블록으로의 재활용 등 폐기물 정책방향을 변경하여 1일 약161톤*의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반입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는 20톤 트럭 8대 분량에 불과하여 지난 2019년 기준 수도권매립지 1일 생활폐기물 반입량(약 2,164톤)의 7.4% 수준으로 이러한 예상대로라면 단계별로 10년씩 약 40년간 사용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2030년 생활폐기물 발생 예측량 설계기준(2,683톤)의 6%
인천에코랜드는 지하 약40m 깊이에 점토 처리와 고강도 차수막을 설치하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조성되며, 아랫단부터단계별로 매립이 진행되는 것으로 매립시설 상부 역시 돔형식 또는 건축물형태로 만들어져 지하와 지상 모두 주변 지역과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하며 직매립이아닌 지하매립, 에어돔 또는 건축물 형식은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매립방식으로서 외부 환경으로부터매립지를 철저히 분리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빗물과지하수가 유입되지 않고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하기 때문에 침출수가 발생되지 않고, 매립가스 발생도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매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매립가스도 포집정으로 포집하여 유해가스 및 악취 유발가스를 전처리 한 후 연료화시설을 거쳐 친환경에너지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아울러, 실내(에어돔, 건축물) 구조로 설계되는 만큼 비산먼지, 가스, 악취 등이 차단되고 시각적 혐오감도 유발하지 않을 것으로예상하고 있다.
더불어 인천에코랜드 부지의 완충지역에는 야구장, 축구장 등을 조성하고, 주변지역에는 방패림을 조성하여 시설 보호및 강풍으로 인한 재해 방지와 생태경관 관리도 고려할 계획으로 특히, 매립이 종료된 뒤에는 돔을 철거하고공원 또는 야외체육시설 등으로 조성하거나 건축물형태의 경우 실내 체육시설로 바꿔 지역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인천에코랜드가조성되게 되면 인천시는 지역 주민들이 별다른 영향 없이 기존의 주거환경과 일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활용 측면에서도 주민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인천에코랜드’ 조성사업과 관련하여 인천시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은 “인천시민의 바람인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와 폐기물처리 정책 대전환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천에코랜드 조성이 필요하고, 이에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시가추진하는 인천에코랜드는 현재의 매립방식과는 전혀 다른 친환경 시설로 조성돼 환경오염이나 주민 피해가 없다는 점을 시민들께서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하였다.
serioso27@hanmail.net
본 기사는 한국공보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
뉴스미란다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공보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kpnnews@naver.com) / 전화 : 1588-9974
- 정치/경제/사회
- 교육/문화/관광
- 보건복지/방재/환경
- 농수축산/산업/개발
- 스포츠/연예
- 읍면동/통신원